독서를 위한 논리학, 이것만은 알고 읽자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논리학, 또는 논증 이론이 수능 국어에서 중요한 건 누구나 알지만, 학교에서 제대로 공부해 본 적은 많이 없을 것입니다. 아래 텍스트를 읽어보고, 논리학의 최소한을 챙겨보세요.
정확히 와닿지 않는 개념은 GPT, 구글, 나무위키에 검색해보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에서 얻어갈 개념 5>
-퍼스의 가추법, 툴민의 비공식 논증, 페렐만의 보편청중, 동기화된 추론, 인식론적 부정의
(연습문제 1)
논증(argument)은 그 구조와 추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유형은 고유한 특성과 적용 영역을 지닌다. 연역 논증(deductive argument)은 전제의 진실성이 결론의 진실성을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형태로, 전제가 참일 경우 결론이 거짓일 수 없는 연역적 타당성(deductive validity)을 갖는다. 전제가 참인 연역적으로 타당한 논증은 건전(sound)하다고 일컬어지며, 이러한 논증은 새로운 전제를 추가하더라도 결론의 타당성이 영향받지 않는 단조성(monotonicity)을 특징으로 한다. 귀납 논증(inductive argument)은 특정 사례의 관찰을 토대로 일반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결론의 개연성을 지지하나 이를 보장하지는 못하며, 전제를 초월하는 확대적(ampliative) 성격을 띤다. 귀납적 추론은 과학적 탐구와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지만, 흄(Hume)이 제기한 귀납의 문제(problem of induction)와 같은 철학적 난제에 직면한다. 가추 논증(abductive argument) 또는 최선의 설명에 대한 추론은 관찰된 사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설을 형성하는 것으로, 진리를 보장하지는 않으나 과학, 법률, 의학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추는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에 의해 독자적인 추론 형태로 소개되었으며, 설명력과 진리 간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검토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추 논증(analogical argument)은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한 속성의 공유를 추론하는 것으로, 유사성의 관련성과 범위에 따라 논증의 강도가 결정되며, 부적절한 비교로 인한 오류로 약화될 수 있다. 오류적 논증(fallacious argument)은 겉보기에는 타당해 보이나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는 기만적 논증으로, 애매어 사용의 오류(equivocation), 순환 논증(begging the question), 권위에의 호소(appeal to authority), 인신공격(ad hominem), 잘못된 유추(faulty analogy) 등을 식별하는 능력은 비판적 사고에 필수적이다. 오류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으로부터 시작되어 논증 실천의 이해와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다양한 논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이해는 효과적인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논증의 강점을 평가하며, 건전한 추론을 전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역 논증이 필연적 진리 보존을 통해 확실성을 제공하는 반면, 귀납 및 가추 논증은 지식을 확장하지만 일정한 불확실성을 내포한다. 논증의 타당성, 건전성, 잠재적 결함을 탐구하는 것은 철학, 논리학, 인지과학의 중심적 과제로, 인간 추론의 복잡성과 지식 탐구의 본질을 반영한다. 연역 논증은 모든 가능 세계에서 전제가 참이면 결론도 참이어야 한다는 필연적 진리 보존에 기반한다. 귀납 논증은 통계적 빈도와 관찰에 근거하여 관찰된 것에서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의 일반화를 시도하나, 결론의 진리를 보장하지는 못한다. 귀납의 문제는 자연의 균일성 가정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과거 관찰이 미래 발생을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을 야기한다. 가추적 추론은 관찰된 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안하지만, 최선의 설명이 반드시 진실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유추적 추론은 유추의 타당성과 추론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천 영역과 목표 영역 간의 유사성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오류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는 추론상의 결함을 도입하여 논증을 약화시킬 수 있으므로, 담론에서 이를 식별하고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합하면, 이러한 논증 유형과 그 기반 원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엄밀한 분석, 지식의 진보에 필수적이다. |
<선택지>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2)
논증(argumentation)은 참여자들의 의사소통 목표와 배경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지닌 다면적 현상으로 특징지어진다. 이는 대립적(adversarial) 혹은 협력적(cooperative) 성격을 띨 수 있다. **대립적 논증(adversarial argumentation)**은 상대방을 압도하려는 경쟁 또는 전투의 형태로 교류를 바라보며, 주로 공격성과 폭력이라는 남성 중심적 가치와 연관된다. 이러한 접근법은 인식론적 단점—과도한 공격성이 진리 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과 더불어 도덕적, 정치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특히 여성과 소외계층과 같이 공격적 행위가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이들을 배제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반면 **협력적 논증(cooperative argumentation)**은 상호 이해를 강조하는 양육적, 협동적 활동으로 인식되며, 전통적으로 여성적 가치와 연관된다. 일부 이론가들은 대립성이 논증의 본질적이고 바람직한 요소라고 주장하면서, 비판적 참여에 필요한 최소한의 대립성과 유해한 과도한 공격성을 구분한다. 대립적 논증과 협력적 논증 간의 이분법은 실제보다는 겉보기에 더 두드러질 수 있으며, 이는 상황에 따라 다른 논증 접근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더불어 논증은 입장에 대한 찬반 이유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신념을 개선하고 지식을 증진하는 **인식적 실천(epistemic practice)**으로 작용한다. 논증에 참여하는 것은 더 정확한 신념을 획득하고 이해를 도모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기존 신념을 확인하는 정보를 선호하는 경향—과 **동기화된 추론(motivated reasoning)**—핵심 신념과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해 모순된 증거를 거부하는 현상—으로 인해 논증이 실제로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종종 **메아리 방(echo chambers)**—자신의 견해를 반영하는 정보와 의견만을 접하는 환경—에 머물러 기존 신념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일부 논증은 겉보기에 설득력이 있어 보이지만 논리적으로는 타당하지 않으며, 개인들은 자신의 고착된 입장을 지지하는 오류적 추론을 식별하는 데 능숙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논증에 참여하는 것은 오히려 잘못된 결론을 설득함으로써 신념의 정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논증은 또한 신념과 의도를 조율하여 **합의(consensus)**에 도달하고 사회적 조정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행동을 조율할 메커니즘이 필요하며, 논증은 관점을 조율하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합의 지향적 논증은 상당한 배경적 합의를 필요로 하며, 깊은 불일치나 갈등 상황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때로 억압의 패턴을 무심코 영속화하거나 소외된 집단을 배제할 수 있는데, 합의가 때때로 현상 유지를 강화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논증은 회피와 공격성 사이의 중간 대응을 제공하여 **갈등 관리(conflict management)**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는 폭력 대신 합리적 담론을 통해 분쟁을 해결할 수 있게 하여, 물리적 힘 대신 언어를 사용하는 평화주의의 한 형태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논증만으로는 갈등을 관리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분쟁을 해결하기보다는 권력을 행사하는 데 사용될 위험이 있다. |
<선택지>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3)
논증 이론(argumentation theory)은 20세기에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 구체화되었으며, 이는 일상적 추론의 증진을 목표로 한 초기의 노력에서 비롯되었다. 19세기 말 프레게(Frege), 힐베르트(Hilbert), 러셀(Russell) 등이 주도한 수리논리학(mathematical logic)의 등장으로 수학적 추론을 위한 형식체계에 초점이 맞춰졌고, 이로 인해 일상적 논증 분석에는 부적합한 상황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괴리를 인식한 수잔 스테빙(Susan Stebbing)은 1939년 저서 《목적을 가진 사고》(Thinking to Some Purpose)에서 일상적 논증에 논리적 도구를 적용하는 선구적 시도를 했으나, 그녀의 공헌은 후속 논증 이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스티븐 툴민(Stephen Toulmin)의 1958년 저서 《논증의 용도》(The Uses of Argument)는 중요한 논증이 형식적 연역 논리로 완전히 표현될 수 있다는 기존 가정에 도전했다. 툴민은 '비형식 논리'(informal logic)로 불리는 대안적 접근법을 제시하여 일상생활의 논증 사례를 다루고 분석했으며, 연역 논리만으로는 현실 세계 논증의 복잡성과 실용적 뉘앙스를 포착하기에 불충분함을 인정했다. 찰스 햄블린(Charles Hamblin)의 1970년 저서 《궤변》(Fallacies)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접근법을 따라 변증법적, 대화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논리적 오류 연구를 부활시켰다. 동시에 셰임 페렐만(Chaïm Perelman)과 루시 올브레츠-티테카(Lucie Olbrechts-Tyteca)는 '새로운 수사학'(New Rhetoric)을 개발하여 논증의 설득적 요소와 청중 의존성을 부각시켰다. 그들은 보편 청중과 특정 청중의 구분을 도입했는데, 여기서 보편 청중은 정당한 논증의 공유된 기준을 나타내는 규범적 이상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기초적 공헌을 토대로 프란스 반 에메렌(Frans van Eemeren)과 롭 그로오텐더스트(Rob Grootendorst)는 화용-대화론적(pragma-dialectical) 접근법을 개발했다. 이는 논증을 특정 의사소통 목표를 지닌 상호작용적 언어 활동 내의 복잡한 발화 행위로 개념화한다. 화용-대화론은 논증적 담론이 주로 의견 차이의 합리적 해결을 지향하며, 기술적 요소와 규범적 요소를 결합하여 논증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도구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더글러스 월튼(Douglas Walton)은 논증 스킴(argument schemes) 접근법을 개척하여 형식 논리 도구를 확장함으로써 전통적 논리 체계가 다루지 않는 더 넓은 범위의 논증을 포괄했다. 랄프 존슨(Ralph Johnson)과 앤서니 블레어(Anthony Blair)는 추론, 논증, 수사학 연구 센터(Centre for Research in Reasoning, Argumentation, and Rhetoric)를 설립하고 학술지 《비형식 논리》(Informal Logic)를 창간하여 논증 이론 연구와 학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선택지> |
<선택지> |
<선택지> |
(연습문제 4)
논증(argumentation)은 인식론적 부정의(epistemic injustice), 덕성 논증(virtuous argumentation), 감정의 역할, 문화 간 시각, 그리고 인터넷이 논증적 관행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차원을 아우르는 다면적 현상이다. 인식론적 부정의는 성별, 인종, 계급 등 사회적 범주와 관련된 편견으로 인해 개인이 지식인으로서 불공정하게 취급될 때 발생하며, 이러한 맥락에서 증언적 부정의(testimonial injustice)는 이와 같은 편견에 근거하여 개인의 신뢰성이 부당하게 훼손될 때 나타난다. 논증적 부정의(argumentative injustice)는 이 개념을 논증 영역으로 확장시켜, 불공정한 대우가 지식 공유를 왜곡하고 권력 차이를 강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덕성 논증 이론은 양질의 논증이 논증자의 덕성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며, 논증의 구조적 특성보다는 개방성, 겸손, 경청 의지와 같은 성향을 강조한다. 따라서 결함 있는 논증은 오만과 편협함 같은 악덕에서 비롯되며, 이 접근법은 보다 건설적이고 공평한 논증적 관행을 촉진하고자 한다. 더불어, 감정은 논증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논증이 순수하게 이성적이고 감정이 배제된 활동이라는 관념에 도전한다. 이성(reason)과 감정(emotion) 간의 엄격한 이분법은 거부되며, 정서적 반응이 논증의 형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인정된다. 감정은 논증적 교류를 저해할 수도 있고 향상시킬 수도 있는데, 공격성과 적대감을 유발할 수 있는 반면 협력을 촉진하고 중요한 전제에 주의를 집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노는 간과되었던 관련 정보를 부각시키는 인식론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 간 시각은 다양한 사회에서 논증적 관행의 변이를 드러내며, 논증의 보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문화적 요인이 논증 수행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복잡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인터넷의 출현은 논증적 관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논증에 참여하는 방식을 형성하는 새로운 매체와 환경을 도입했다. 온라인 플랫폼은 다양한 어포던스(affordances)를 제공하여 논증적 상호작용의 본질을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초기의 낙관론은 인터넷이 공론장을 민주화하여 평등한 참여와 자유로운 아이디어 교환을 가능케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허위정보의 확산, 양극화 심화, 지적 오만의 증가와 같은 도전과제들이 대두되었다. 온라인 논증은 현재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논증 마이닝(argument mining) 등의 방법을 통해 자주 연구되지만, 이것이 논증적 담론의 질을 향상시켰는지 혹은 저하시켰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논증은 지식 공유, 사회 정의, 다양한 맥락에서의 의사소통에 대한 함의를 지닌 다면적 측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풍부한 연구 분야로 남아있다. 더욱이, 논증에서 감정의 영향은 단순한 기술적 관찰에 그치지 않고, 감정이 논증 과정에서 어떻게 관여하고 조절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적 질문을 제기한다. 덕성 논증 이론은 논증자의 성격과 성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유망한 접근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덕성 논증이 인식론적 부정의와 억압적 논증 사용의 위험을 완전히 완화할 수 있는지는, 특히 권력 역학과 관련된 더 광범위한 구조적 요인들을 고려할 때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
<선택지> |
<선택지> |
<선택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애기자러감 1
안잘거라는뜻
-
ㅇㅈ 3
-
진짜 잔다. 7
다들 편안한 밤 되십쇼. 샤따 내립니다 빨리 나가요 이제
-
착한사람 히히..
-
대체 다들 얼마나 속아보신거?
-
이시간까지 잠을 못이루는중
-
ㅇㅈㅇㅈ 1
하면 여자인증 인 셈이니까 여자인셈치죠
-
인생 망햇네 그냥 하
-
잘자 애기들아 13
애기들이라고 했는데 웬 틀딱이 들어왔노
-
다들 자러가니까 9
급격히 우울해지네.. 나새기왜살지
-
으흐흐 11
다이어트 중인데 으흐흐
-
비슷한 점수 반응들 보면 국숭세단 노려볼 만 한다는데… 진짜 이 점수로 국숭세단을...
-
카톡 알림 떠서 기분 좋개 확인하러 들어갔는데 병무청.. 내 알아 갈게요.. 그만...
-
억잠하러간다
-
너무졸려 3
자야겟다 진자..
-
제거 정도는 돼야 설치랑 비교할만하지
-
4시네 자야지 3
다들 잘자요
-
저장할거임
-
하씨.벌
-
존못이라 울었다..
-
그래서 조용히 삭제했음..
-
아무거나 해주세요 답할지 말지는 몰루
-
오늘초대형배설했네 12
글몇개를쓴거야이버러지새끼
-
아 불면증 5
어쨋거나 자는건 생리현상같은건데 어젯밤도 새놓고 또 졸리지 않다는게 이해가 가지...
-
정상 질문 받아요 16
이번에도 이상한 질문하면 철권으러 따라와
-
차이 별로 없으면 삼수 안하는 게 맞나요? 재수 하다가 8월부터 일이 생겨서 공부를...
-
다시 존예가 인증할 차례다
-
아...
-
질받하고 자겟습니다 24
무슨 질문을 하든 진실만을 말하겠슴뇨
-
너무졸렵다 6
-
ㅇㅈ 15
ㅈㅌ
-
도와줘라
-
4시 전엔 잔다 5
반드시 그래야만 해. 9시에 기상해야 한다고.
-
ㅇㅈ 2
3배각 공식 ㅇㅈ
-
26수능 잘봐서 5
서울대 합격해서 오르비 인증하고 싶다.. 25년도 소원은 서울대 최초합 뚫는거..
-
님이 이성한테 안 먹히는갑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이씨발나도알고싶지않았어
-
마킹이나 가채점표 실수는 안했다고 확신할수있습니다 연대 경영이나 서울대 인문 가능할까요…
-
형아가 크리스마스 이브까진 해 오랬는데 시간이 안 나서 걱정이야
-
넌천재구나..
-
복싱하러 내잉 등록 갑니다.
-
국어 100이신 분들 11
누구 들었나용
-
이시간에깨잇는거 5
거의 한 4년만인듯
-
틀딱 기준 16
몇 년생부터임
-
그래도 큰 사고없이 무난하게 낸거같네욤.. 오류시비같은것도 없고 괴랄한 등급컷도...
-
자야겟다 2
진짜 잠뇨
-
센스는 타고나야 하는 듯.. 에효이
-
어떻게 고르는 건가요 고3때 정석민쌤 들으면서 와 정말 너무 명쾌하고 좋다 했는데...
-
통모짜핫도그 3
요즘잘자쿨냥이
논리학 어려웠는데 감사합니다 점심시간에 읽기 너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