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어순의 비밀(왜 이름은 성보다 앞에 올까?)
오늘은 영어 어순의 비밀을 알아보겠습니다.
제 본명은 김태영입니다.
"김"이 성(Family name) 입니다.
"태영"이 이름(Given name)이죠.
그래서 한국말로 그냥 "김태영" 하고 적으면 됩니다.
그런데 영어는 "태영김" 으로 성이 뒤로 가죠.
왜 이렇게 써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 없었나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영어는 클수록 뒤로 갑니다.
"김"은 가문의 이름입니다.
당연히 개인에 불과한 저 "태영"보다 크죠.
그래서 성이 뒤로 간 겁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볼까요?
한국에서 뮤지컬 포스터를 만든다고 합시다.
보통은 아래처럼 년, 월, 일 순서대로 만듭니다.
연도가 가장 크고 일이 가장 작기 때문이죠.
하지만, 같은 공연을 미국에서 홍보하면
일, 월, 년 순서로 바뀝니다.
가장 작은 "일"이 먼저 오고
가장 큰 "연도"가 뒤로 갑니다.
과자의 유통기한도 살펴볼까요?
영국 과자입니다.
유통기한은 년, 월, 일 일까요?
일, 월, 년 일까요?
28일 9월 24년 입니다.
한국에서도 "다이제"라는
비슷한 과자가 팔립니다.
그 과자는 유통기한이
년, 월, 일 순서고요.
영어는 작은 게 먼저 옵니다.
이런 특징을 학습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분수 표현, 가주어, 분사구, 관계대명사가 있죠.
1/2를 한국말로 읽으면
"이분의 일"입니다.
엄마인 분모가 먼저 오죠.
영어는 "one-second"라고 합니다.
아들인 분자가 먼저 오죠.
고1 21년 9월 35번
나중에 도표 문제 학습할 때 요긴하겠죠?
앞에 나오는 게 분자인지 분모인지
이제는 혼란스럽지 않을 테니까요.
가주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어가 길어져서 뒤로 간 겁니다.
To take enjoyment in your life is good.
It is good to take enjoyment in your life.
네이버 사전의 예문입니다.
주어가 너무 커서 뒤로 보내버렸군요.
분사구도 마찬가지입니다.
An [amazing] book.
A book [written in English].
분사는 품사가 형용사입니다.
명사를 수식할 수 있어요.
그런데 특이하게도
다른 형용사처럼 앞에서만 꾸며주지 않고
뒤에서도 꾸며주는 경우가 있죠.
보통 문법 문제집에서는
분사가 구(단어+단어)를 이루면
명사를 뒤에서 수식한다고 설명합니다.
저, 우리는 그 이유를 알아요.
수식어구가 book 보다 커서 뒤로 보낸겁니다.
A book << written in English
관계대명사도 형용사입니다.
다만 분사와는 다르게 형용사"절"이죠.
절은 "주어 역할하는 단어 + 동사 역할하는 단어" 입니다.
수식어절은 선행사보다 크겠죠?
그래서 늘 뒤에서 수식했던 겁니다.
네이버 예문 보시죠.
There was a girl [who caught my eye].
a girl << who caught my eye
이런 경향을 모르면
모의고사에서 다소 난감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고등학교 모의 기출 예문입니다.
학년/년도는 사진 바로 아래 있습니다.
고2 19년 9월 18번
분명 College는 사람이 아니죠.
그런데 뒤에 관계사 who가 있습니다.
뭔가 이상하죠.
사실 선행사는 students 입니다.
students를 꾸며주는
수식어가 2개이기 때문이죠.
[from St. Andrew’s College] 전명구
&
[who are currently taking a Media Studies class
that requires us to film a short video] 관계사절
큰 게 뒤로 간다고 했죠?
students를 꾸며줄 때
더 짧은 전명구가 먼저 오고
더 긴 관계사절이 뒤로 간 겁니다.
그래서 저런 겁니다.
이 특징을 잘 파악하면
특이한 구문도 당황하지 않고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고2 2022 6월 29번
어법 문제입니다.
저 that은 정체가 뭘까요?
관계사? 대명사? 명사절?
모두 아닙니다.
동격의 that입니다.
Awareness를 설명하죠.
도대체 왜
Awareness 바로 뒤에 붙지 않고
동사 뒤에 있을까요?
이제는 지겹죠?
동격의 that절이 너무 길어요.
반면에 동사는 짧죠.
저 상태에서 동격의 that 절을
Awarenss 바로 뒤에 붙이면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울 겁니다.
왜냐구요?
that 절이 무진장 길어서, 저거 다 해석할 때쯤
독자의 머릿속에서는
문장의 앞 부분이 잊혔을 수도 있어요.
그래서 평소와 달리 뒤로 뺀 겁니다.
마치 영화개봉일에서는
몇 월 며칠인지가 가장 중요하지
몇 년에 개봉하는지는 덜 중요한 것 처럼요!
마지막 예시를 봅시다.
고2 2023 9월 29번
개념 자체는 위의 Awareness와 같죠.
동격의 that절을 파악할 줄 아느냐를 묻습니다.
that 절이 추상명사 view의 바로 뒤가 아니라
문장 끝에 멀찍이 떨어져 있죠.
이걸 간파할 줄 아느냐가 핵심입니다.
이제는 뻔하죠?
앞으로 뜬금없어 보이는
긴 수식어구, 수식어절을 만나면
이 내용을 떠올려주세요.
도움이 될 겁니다.
혹시나 동양과 서양이
왜 저렇게 반대로 가는지 궁금한 분들은
리처드 니스뱃의 "생각의 지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0 XDK (+500)
-
500
-
26명 과인데 작냔에 12명 돔 근데 9명에서 귀신같이 끊길것만 같고
-
0. 요루시카에 대하여 요루시카는 작사, 작곡을 담당하는 n-buna(통칭 나부나)...
-
작년 충원율 0%라 좀 불안하긴한데 작년은 10명 지원 올해는 20명 지원임 한명정돈 나가겠지..?
-
이번 년도는 0
윗대학들이 빵이고 아랫대학들이 폭인가
-
이거 실제로는 몇등이였는지 최초합이면 볼 방법이 없나요?
-
기억이 가물가물하네,,
-
KDA 순위 원딜 1등, 미드 1등, 정글 1등이 모여있으며 (전체 순위 : 에이밍...
-
쓸쓸하고 추운 겨울이구나....
-
이틀만 참자 3
-
사범대에다가 떨이면 답없네 현재까지 7광탈 확정^^
-
확통언매쌍윤 문과 서울대 지망하는 장수생입니다. 근데 나이가 좀 있어서 검정고시...
-
동국대 떴냐? 2
드디어 떴네
-
빨리해 나만 합격증없어
-
어떻게 외모 평균이 이렇지 메가 기숙, 노대, 위업 다녀봤는데 이렇게 외모 평균이...
-
생각 들면서도 막상 그 곳 가면 개같이 사라지고 그냥 탈주 마려움
-
처음보는 대학인데 하.. 의심되네요
-
크 9
-
자전 추합률 0
300명 뽑는 나군 숙대 자전 추합 60% 돌까요… 나군 원래 얼마 안 도는거 알지만…
-
ㅇㅈ 22
비명문대야 내가 간다
-
하루에 몇십 왔다가다하니까 정병올꺼 같음 시드가 작은데도 저 정도면 시드크면 ㄹㅇ 힘들듯
-
금테는 7
단점밖에 없음
-
학교는 둘다 이대 초등교육과 가서 컴공 복전(컴공 입학정원의 15%만 복전ㄱㄴ)...
-
빠지겠죠?
-
첫합격증 야미~ 8
와! 장학금도 없이 최초합! 원서영역 9등급 와!
-
예상했던거랑 너무 다르네.... 생각보다 너무 뒷번호임
-
칼면도하니까 자꾸 뾰루지 올라오길래 샀다 근데 시원하게 안 밀리는데 이게 맞나
-
ㅠㅠ 추합많이돌길ㅠㅠ
-
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ㅅㅂ
-
동국 합 10
-
어그로성 죄송합니다 정시러로 고3되고 틀었을 때 목표가 동국대였는데 안정으로...
-
예비네 16
추합 확정이네
-
나는 말로만 관심 있고 생각 있었지 무지했던 것 같기도 하고 파킹통장 적금 주식...
-
진짜 열심히 한번 써본다
-
가군이고 40명뽑는데 예비 41임 작년이랑 재작년엔 예비 55명정도까지...
-
먼 문젠데
-
김민지씨 2
좋아요
-
ㅈㄱㄴ
-
https://orbi.kr/00032197381 옛날에 오르비에서인상깊게 봤네요
-
이거 대체 어캐품?
-
금테양 점 2
많음 내가 봄
-
수험생 때 대출 개많이 받아서 코인 올인하고 공부 코인 상승->돈 벌었으니까 공부...
-
수특 독서 0
교재 나온거 맞죠? 배송이 늦네
-
중국 “미국의 대중 ‘10% 관세’ 조치, WTO에 제소” 1
[게티이미지]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중국 상무부는 미국이 중국에 10% 추가...
-
카이스 아나토미 받아야됨
-
한양대는 올해 공대(전기공학) 신입생 등록금 얼마에요?
-
지금 그럼 뱃지가 2개가 있었을지도
-
금테 장점 1
과외 모집 가능
-
어그로 끌림 나쁜 점 어그로 끌림
감사합니다!
딱히 신경 안 쓴 당연한 것 같던 부분이 가장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