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필수는 누가 했는지 참 잘한듯
게시글 주소: https://video.orbi.kr/0006321523
작년에는 한국사를 안했는데 그때와 비교했을 때
확실히..고등학교 과정밖에 안되는데도 눈이 트이는 것 같네요. 정치에도 관심 생기게 되고, 내가 어렸을 때 무조건 좋게 혹은 나쁘게 생각한 사람들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기회도 되고 (어렸을 때 위인전집?같은 것을 많이 읽었는데 굉장히 한쪽 색이 짙은 시리즈였더라구요.) 역사의 반복되는 패턴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되고..생각을 더 깊이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대선 후보도 잘 모를 만큼 정치에 전혀 무관심했던 제가 정치인이 되고 싶다는 생각까지 들게 하네요. 사실 이런 맥락이면 버릴 사탐은 하나도 없긴 하지만ㅋㅋ...윤리를 배워야 철학적사고를 할테고 세상 돌아가는걸 알아보려면 법정 경제도 알아야 할 거고..그런식..?(문돌이라 과탐에 대해서는 판단불가..생물과 지구과학은 정말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실력있는 선동가 되기’ 민노총, ‘선동 학교’ 연다 3
민주노총이 산하 노조 간부들에게 선동 방법을 교육하는 ‘선동 학교’를 연다고...
-
선택과목 조언 3
재수생이고 화작 미적 동아시아사 사문 생각하고 있는데 어떤가요.. 현역 때는...
-
일단 내가 평범한 머리다?—>1년해도 ㅈ도 안오름 그리고 운빨이 미친게임임 물론...
-
연의알지? 기다릴게
-
수시가 그냥 떨어졌다 단념하면서 확인 안해놓았는데 나중에 심심해서 조회창 들어가니까...
-
ㅈㄱㄴ
-
안녕하세요 예비 삼반수생입니다. 2024 수능 수학 미적 백분위 73 2025 수능...
-
어릴때부터 목표없이 공부해온 사람이고 딱히 어떤 진로에 대한 명확한 생각은 없었음...
-
하...
-
후기들이 많이 없어서요.. 도저히 모든글을 이해하면서 읽기는 불가능 한거 같아서요
-
물리 백분위 44맞고 가천대 컴공간다 ㅋ ㅋ ㅋ ㅋ ㅋ 재수는 싫으니까 교환학생 노려볼게
-
3을 4로 썻네
-
90퍼 정도는 그때 이후로 접점이 없음
-
과기대 예비 1번인데 1차 추합 때 바로 붙겠죠? 합격한 곳이 있어서 등록을...
-
후 실패
-
ㄱㄱ 전 17.8°C
-
오늘 승인받았는데 암덧도없냐
-
뭣 변경완
-
DK) 어드바이저로 오신 거 원해서 하신 거예요? l 칸X시우 첫 만남 2
불닭만은 안된다.. 대회기간에 매운거 먹는건 일주일에 7번 하이디라오 가는 미1친...
-
인프라나 캠퍼스는 계명 승이고 뒷 병원은 인제 승인데.. 인제약이나 계명약 다니시는...
-
연락처 ㅋㅋ 8
레전드찐따대회 우승잡니다 질문받습니다
-
짐 가야 하는데 0
너무 귀찮아
-
아싸 찐따론 나 못이김
-
막상 한다니 뭔가 기대가 되는구만
-
과외하는애 08년생 이제 고2인데 고2 교육청 모고는 95점 정도 안정 1임 고3...
-
점공도 최초합 끝자락이던데
-
주말에 외출하면 4
찐따소리는 하지 마라.
-
서울대 존나 다니고싶다 왜 오르비언들이 설대 설대 거리시는지 알거같다...
-
ㅋㅋㅋㅋ
-
잘살면된거야
-
.
-
나 소심해보임? 0
.
-
정시도아니고 자연도아니고 경한 인문 논술 예비4번인데 예비1,2번이 다른곳으로...
-
공통점 : 사적인 약속이 많지 않다 차이점 아싸 - 성인 이후 연애 경험 존재,...
-
친구 만들고 싶으면 다 외향형이냐
-
오예 0
1kg 빠졌다 이제 15kg만 더... 에휴
-
어느대학 이상이면 오르비에서 공부조언 해도된다고봄? 16
꼭 문제풀이 아니더라도 수험생활 태도라던가.. 과목선택이라던가 (이건 경험...
-
모솔이면7ㅐ추 2
ㅇ
-
근데 중고등학교를 정상적으로 다녔으면 친구가 없긴 힘듦 9
난 비정상적으로 다녀서 없는거임 암튼그럼
-
아니라고 해주세요..
-
망햇네
-
하...
-
ㅇㅇ?
-
전 왼쪽
-
문득 궁금한 점 9
찐따는 선천적일까 후천적일까 날 보면 일단 선천적같음
-
찐따아님 제발
-
오르비언들 공부 개 잘함
-
국어 풀이 순서 2
정석 풀이가 언매독서문학인걸까요? 수험생활 내내 처음부터 순서대로 풀어서 그런 생각...
어자피 70퍼 이상이 자는데 시험위주의 교육은 역사인식을 바꿀수없다는 생각이라서
저같이 시함을 위해 공부하다 뭔가 인식이 바뀌는 사람이 조금이라도 늘지 않을까요? ㅎㅎ
이과생들 평생 국사책 한 장 들춰보지 않아도 잘먹고 잘사는데
아베도 한몫잼
한국사 필수의 1등공신
생물 그닥...
지구과학은 진짜 유용한것같아요ㅋㅋ그리고 실생활에 제일필요한건 역시법정
법정이 실생활에 유용해요? 어떤 점에서...??
부동산거래 유산상속 형사절차 이런부분이 실생활에 유용하고 민주주의 행정기관 이런부분은 국민으로써 알아야한다고생각해요!
전 그게 유용한지 모르겠지만... 그렇군요!
음 살면서 직접 쓸수잇는걸 알려주는데 아니라고 생각하시나요??
아뇨.. 제가 너무 어렵게 생각한 듯... 그렇군요
법정이었나 사회였나 수업시간에 배운걸로 아는데 일단 고소 절차만 해도 알아두면 좋죠. 키배뜨던 상대를 ATM으로 만들 수 있고
지학도그닥... 돌덩어리랑지형외워서뭐하게요...
물리가 개정되면서 되게 실생활과밀접해진듯해요
법정은 누가 잘 가르치는 편인가요??
당사자는 괴로움 ㅠ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첨엔 한국사 필수를 뭐하러 하지? 기본적으로 다 배우는건데 굳이 수능까지 볼필요가 있나 싶었는데.... 태조다음이 세종이라는 학생과 625가 1984년에 일어났다고 하는 학생을 보며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ㅋㅋ 그런학생은 역사를 뭘로 배운건지..
국사는 아니지만 북한산이 남한에 있는걸 놀라워하는 학생도 봤습니다.....
?! 님도 문과신가요?? 혹시 법정 잘가르치는분 아시는분 계시면 추천 해주실수있나요??ㅠㅠ
전 공대졸업생입니다... ㅋ
한국사 필수가 효과적일지는 의문인데요. 양도 방대하게 늘었고 특정 점수만 넘으면 1등급 처리이기 때문에 '문화사 버려, 경제사 버려' 하고 기본적인 것만 하는 진짜 소위 '암기과목'이 될 가능성이 다분하니까요. 그리고 전근대가 70퍼센트고 근현대가 30퍼센트인 것도.. 이해가 안됩니다 ㅋㅋ 근데 더 많은 학생들이 국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건 바람직한 거 같네요
어쨌든 한국사 지식이 0→n으로 늘긴 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았습니다 전 ㅎㅎㅎ 거기에따라 관심도 증가할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