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노하우]-비문학 감각 더하고 가세요
게시글 주소: https://video.orbi.kr/0005570969
수능 국어 시험은 한국말로 되어 있다.
수학, 과학처럼 공식을 외우지 않아도
영어처럼 단어를 외우지 않아도
사회,윤리,역사처럼 이론을 달달 외우지
한국 사람이면 읽고 풀 수는 있다.
하지만
지문과 자료등 읽을 것이 많고
때로는 어려운 전문 용어에 멘붕을 맞이하고
읽어도 읽은 것이 아닌 듯한 문학 작품 해석.
거기다가 공포의 시간 제한.
사실, 수능 국어는 시간이 무제한으로 주어진다면
틀린 문제도 맞출 수 있는 신기한 현상이 나타난다.
다른 과목에서는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
주어진 시간 안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지문과 자료를 해석해서
정답 선지를 찾아내는 고도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1년 내내 기출을 돌리고
EBS를 풀고
모의고사로 실전 연습을 하지만
수능 당일 1교시 국어
한 문제라도 틀리면 대학이 갈리는
극도의 긴장감 속에서 마인드 컨트롤을 제대로 못하면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문제를 푸는 것인지
그냥 감으로 푸는 것인지 구분이 안 갈때도 많다.
수능 국어는 다른 과목과는 달리 굉장히 다양한 변수를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그래서
전략적인 공부와 문제 풀이의 방법이 가장 필요한 과목이 국어이다.
기출이나 문제집의 모의고사 문제를 많이 풀다보면
어느 순간 지문과 문제 유형 대한 감각이 생긴다.
이 감각은 전략적이고 효율적인 문제 풀이로 이어지며
굉장한 경쟁력을 갖기도 한다
.
이것이 바로 문제풀이 기술, 노하우, 팁이라고 불리는 종합체이다.
이런 것을 이미 누가 오랜 시간 동안 경험, 연구해 왔기 때문에
여러분은 직접 체험하지 단시간 습득할 수 있다.
하지만 습득이 곧 체화는 아니니 꾸준한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해설 좋은 기출 문제, 빠르고 정확한 독해력 신장, 질 좋은 모의고사 문제
시중에 많다. 공부할 것이 많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선지 자체를 하나의 완전체로 생각하고 분석한 노하우는 처음일 것이다.
혹시 지문 보다는 문제를 먼저 읽는 수험생들,
선지 보면서 선지의 핵심 정도에 밑줄을 그어가면서
지문의 대강을 파악한다.
그러면서 가끔 드는 생각
엇, 이 선지는 정답 가능이 좀 낮거나 좀 높겠는 걸...
물론 지문도 보지 않았지만 이런 생각을 한다.
이것을 좀 더 이론적이고 유형화하여 먼저 알면 지문을 읽고 정답을 찾는 시야가
그렇지 앟는 수험생보다는 훨씬 경제적이고 전략적일 것이다.
선지에서 지문의 핵심을 설명할 때 두 개의 선지가 서로 모순일 때가 있다.
그런 경우에는 두 개의 선지를 좀 더 집중으로 봐야한다.
두 개의 선지 중 하나가 정답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다음 문제들을 살펴보자.
2015 9월 평가원 B형 18번
물론 수능 시험에서 선지만을 보거나 지문을 온전히 보지 않고
정답을 선택해야하는 긴급한 상황은 오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그런 상황을 실제 수능에서 많은 수험생이 맞이하긴 한다)
꼭 그런 경우가 아니더라도
지문 보다 문제를 먼저 읽는 경우
위의 내용을 알고 지문을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은 분명 다르며
이 작은 차이가 1초라도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문제 풀이를 해야하는 수능 시험장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하자.
위의 내용은 수능은 물론 모의고사, 내신 심지어 난이도 끝판왕인 사관학교 시험에도 매년 적용된다.
조금더 진지하게 살펴보고 지금 여러분의 국어 공부에 더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자.
추천은 나의 소중한 에너지
문학 감각 더하고 가자: http://orbi.kr/0005555609
서술상의 특징 문제 해결: http://orbi.kr/0005518786
2015 수능 현대시 모두 적용: http://orbi.kr/0005489483
정답과 부정형은 75%이다: http://orbi.kr/0005469384
선지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느낄때: http://orbi.kr/000544667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제발
-
설명할방법이그거밖에x
-
또 다시 헤어져 야하는데 헤으응
-
일단 여자처럼 생겼다는거니까 좋은거죠?
-
진짜 자로 감 2
다들 잘 자
-
우리는 서로의 좋은 반창고
-
시대인재 반 1
못하면 강등될수도 있어여?ㅠㅠ
-
학원에 수시반밖에 없어서 그만두고 인강들으려고하는데요 학원쌤이 정시준비해도 무조건...
-
김상훈 커리관련 질문 17
1. 저 고정1인데 입문에잇는 고전시가나 단어뜻도 들어야 하나여 2. 문학론...
-
나도 여자강사 듣고싶다 12
김승리 강민철 강기원 이창무 조정식 오지훈 현정훈 크아아악
-
메모장.txt 2
전여친보고싶다
-
23보다 업? 다운?
-
첫끼인 저녁은 설렁탕에 밥1/3 간식은 그릭요거트 시리얼!
-
물론 공부를 한건 아니지만..
-
근데 잇올 5
원래 남녀 따로 앉는거 아니었나 왜 섞어앉지?? 옆에 다 여자라 개부담스럽네
-
교재 구성 질문 2
기출 분석을 위한 책에는 기출 풀 셋이 들어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말하고 싶은...
-
내향인 집 도착 9
씻고 롤체해야지
-
하루이틀 헬스장가서 개빡쎄게 하고 다음날부터 작심삼일되서 안하면 말짱도루묵인듯...
-
고등학교 졸업한지 얼마나 됐다고 ㅠ 난 아직 수능판인데 친구는 결혼함 ㅋㅋㅋㅋㅋ
-
오늘의 꿀팁 0
움직이기 귀찮을때 코딱지를 항문안에 넣어두면 나중에 똥싸면서 버려지기때문에 굳이...
-
반박 안받음
-
뭔 내용을 써야하지
-
재수 확정 났는데 4~5등급이 기숙학원 가려면 어디가 좋을까요...?
-
초성 몇단어 던져주면 단어를 각자 조합해서 가지고 옴 캬
-
어디 선호하시나용
-
뭔가ㅜ이루고싶은게 있어야하는데 몸짱이되겟다<-상당히 장기적인 목표라 큰 감흥은 없고...
-
불끄고누움 11
자야할것같음
-
제얘기임
-
이 수 ㅁㅌㅊ? 8
-
아직도 모르게ㅛ네 오르비한지 좀 됬는데도…
-
이거 언급 없는거 맞냐 오르비 팝잘알들은 다 죽었네
-
생2커리추천 2
2월을 맞아 생투 시작하려하는데 커리 추천좀 해주세요 투과목 자료 부족하단 얘기를 많이 들어서
-
본계는 2025kice 이거는 옯스타인데 아마 나중에 공스타로 쓸수도 있음요 부계는...
-
알바힘들어 ㅜ 0
좀 앉고싶다 ㅜ 사람이너무마나,,,,
-
예전이면 내 수시로 한의대 가능했는데 이제 경기권도 못감 9
그땐 대체 얼마나 적폐였던걸까
-
공수1도 꽤 어렵네요,, 빨리 돌리고 공수2 해야하는데 사실 12월에 했어야했는데...
-
그 하나의 대학 최저가 과탐 고정인 나 이걸 런을 쳐야해 말아야해
-
첫 과외 수업 진행해야 하는데 시간 감이 안 잡힙니다 0
시간이 남는거보단 부족한게 나은거같아서 충분히 준비는 해두었는데 한 번도 안...
-
나만 철없던거였네
-
오르비 보니까 의대생 80%가 짱깨인거 팩트인가보다 5
재외국민전형 개~~~꿀통 중국 공산당한테 한국 먹히면 홍위병들한테 제1...
-
레전드 날먹과목인것같은데
-
수학 공부 조언 1
고3입니다 커리 하나 잡고 따라가는 게 나을까요 개념 강의 듣고 문제집만 계속 푸는 게 나을까요…
-
공스타맞팔해요 4
@sushimingham 아마 2월달부턴 꾸준히올릴것같아요
-
일단 f라 공감하면서 독해 ㅆㄱㄴ 바로 국어성적 떡상할듯
-
가톨릭은 공대썼고 경북대는 어문계열 썼는데 둘다 합격 각이라 진짜 너무 고민됨.....
-
대 르 비
매번도움이됩니다! 감사합니다~
힘이 되는 덧글 감사합니다^^
요즘같은 수능에서는 더욱 필요한 지식이겠네요 수능 초창기와 많이 달라짐
네..수능이 어려울수록 더욱 많은 전략과 방법이 필요합니다. 잘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2년 텀이 남은학생입니다. 국어 독해력을 기르고싶은데 기출은 너무빠른것같은데 어떻게하면 독해력을 기를수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