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Rule]- 2015년 수능 국어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video.orbi.kr/0005101558
안녕하세요.
Rule 7입니다.
본 칼럼은 [국어 시험의 법칙]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습니다.
VI. 대립 선지의 법칙
'2015 수능'
국어 시험의 감각이 중요하다.
시간이 제한된 국어 시험에서는 모든 문제의 정답을 100% 확신하면서 논리적으로 다 풀어 낼 수는 없다. 물론 우리가 평소에는 100%의 정답을 확신할 근거를 찾으며 차근차근 논리적인 방법으로 공부를 해야 한다. 하지만 당일 컨디션, 마인드 컨트롤, 시험 난이도, 제한된 시험 시간이라는 시험의 내외적 상황으로 인해 평소 학습법을 온전히 시험 문제 풀이로 적용하기 쉽지 않다. 더군다나 1교시라는 첫 시험과목이라는 굉장한 압박감이 머릿속마저 하양게 만들어 과연 내가 1년간 공부한 것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인지 그냥 국어 시험은 한글 읽기 시험이니까 그것을 읽고 한 문제, 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인지 구분하기도 어렵다.
어떤 사람들이 국어 감각이 좋은거지?
적절한 사고가 동반된 과거의 독서량, 그로 인한 탁월한 언어 능력이 대부분이다. 별 힘을 들이지 않고도 국어 점수가 꾸준히 잘 나오는 이들 정말 부러움의 대상이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지금와서 무작적 책을 읽을 수도 없는 노릇.
문제 풀이의 감각도 중요하다.
국어 시험에 가장 기본은 독해력이다. 더해서 제한된 시간 안에 각 문제의 정답 근거만 찾으면 되는 게임이기도 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험생이 국어 문제 풀이의 시간 부족이 부족하다. 올해 2015년 수능에서는 더욱더 그러했다. 몇 문제는 지문도 제대로 읽어 보지도 못하고 거의 찍기도 한다. 심지어 지문을 온전히 읽었어도 정답을 100%확신하고 선지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시간이 더 있으면 충분히 다 풀 문제들,,그놈의 시간과 긴장감 때문에 그러지 못한다.
◎ 이러한 점을 조금이라도 보완해서 여러분의 시험 시간을 단 1분이라도 단축하고 정답 선택에 도움이 되고자하는 자료를 소개하려한다. 이 자료를 접하기 전에 어느 정도 경험해봤을지도 혹은 전혀 생소할 수도 있지만 내년 국어 시험을 준비하려는 수험생들이라면 조금 더 진지하게 살펴보길 바란다.
VI. 대립 선지의 법칙?
일정한 선지의 패턴을 통해서 정답의 가능성을 파악하여 문제 풀이의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5개의 선지중 하나의 선지가 산술적인 정답의 확률은 20%이지만 선지가 서로 반대(대립, 모순)을 이루고 있으면 그 비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선지의 정답 확률을 예측해 볼 수 있다.
1대1 대립(두개의 선지 중 하나: 75%)
1대2 대립(1의 비율 선지: 90% )
1대3 대립(1의 비율 선지: 99%)
(평가원 20년 국어 시험 분석 통계)
![](https://s3.orbi.kr/data/file/cheditor4/1411/r7oC1NfFZ7EQbwpnxNqmZ2.jpg)
◎ 응용 유형 (1대1 대립)
(나)를 기준으로 (다)에 대한 상대적 비교,
선지 3: 합성된 단백질의 양이 많음 ⇔ 선지 5: 단백질 합성에 이용되지 않음 (합성된 단백질의 양이 적다는 여지의 추론 가능 )
선지 3,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응용 유형 (1대1 대립)
대상 ⓑ를 기준으로,
선지 3: 명암 대비 강해짐 (시각적 뚜렷함) ⇔ 선지 4: 일부가 표시 안됨 (시각적 뚜렷함X)
선지 3,4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기본 유형 (1대1 대립)
취미 판단 기준,
선지 1: 가능 ⇔ 선지 2: 불가능
선지 1,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기본 유형 (1대1 대립)
선지 3: 정적 ⇔ 선지 5: 동적
선지 3,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응용 유형 (1대2 대립)
후에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선지 2: 긍정적 상태의 추구로 인해 ⇔ 선지: 4,5: 부정적 상태 경계
선지 2가 정답이 될 가능성: 90% ↑
◎ 응용 유형 (1대2 대립)
선지 1: 내적 ⇔ 선지 2, 3: 외적 (대화, 발언)
선지 1이 정답이 될 가능성: 90% ↑
◎ 기본 유형 (1대1 대립)
‘만남’에 대한 경향성에 따라,
선지 4: 긍정적 ⇔ 선지 5: 부정적
선지 4,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기본 유형 (1대1 대립)
‘만남’에 대한 경향성에 따라,
선지 1: 부정적 ⇔ 선지 5: 긍정적
선지 1,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복합 유형 (1대2 대립)
‘비아’에 대해,
선지 3: 긍정 ⇔ 선지 4: 부정
‘아’에 대해,
선지 3: 긍정 ⇔ 선지 2: 부정
선지 3이 정답이 될 가능성: 90% ↑
◎ 기본 유형 (1대1 대립)
사회 이론과 시대적 현실과 관련성,
선지 4: 무관 ⇔ 선지 5: 관련 있음
선지 4,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응용 유형 (1대1 대립)
여행의 경로에 관한 서술상의 특징,
선지 4: 압축적 ⇔ 선지 5: 과장적 (압축과는 반대로 확대의 경향성이 강함)
선지 4,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응용 유형 (1대2 대립)
상황의 긍, 부정성,
선지 5: 긍정 ⇔ 선지 1,3: 부정
선지 5가 정답이 될 가능성: 90% ↑
◎ 복합 유형 (1대2 대립)
(가)-(나)의 긍정, 부정성,
선지 1: 긍, 부 ⇔ 선지 2, 3: 부, 긍
선지 1이 정답이 될 가능성: 90% ↑
◎ 응용 유형 (1대1 대립)
선지 3: 토로 (직접적 서술의 경향성이 강함) ⇔ 선지 5: 간접적 서술
선지 3, 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 기본 유형 (1대1 대립)
선지 1: 귀향 완성 ⇔ 선지 5: 귀향 완성 X
선지 1, 5 중에서 정답이 있을 가능성: 75% ↑
요약 및 결론
1. 수능 1교시 국어 시험에는 굉장히 많은 요인과 변수가 조합되어 점수가 결정된다.
2. 자신의 기본 독해 실력에 문제 풀이 감각을 더하면 굉장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3. 우리가 국어 공부에 시간과 돈을 사용하는 이유는 수능 때 단 1분의 문제 풀이 시간을 더 줄이기 위해 단 1문제라도 더 맞추기 위함이다.
4. 100점에 도달하는 단 한 가지의 절대적인 국어 공부 방법(강의나 교재)론은 없다.
5. 국어점수는 지식+감각+풀이 기술+마인드 컨트롤 등 다양한 요인의 조합으로 결정된다.
6. 위의 내용을 알고 문제를 푸는 것과 모르고 푸는 것은 분명 다르다.
7. 내신, 모평, 성취도, 학평, 사관학교 시험 다 적용된다.
8. 이것은, 객관식 국어 시험의 허점 = 국어 문제 풀이의 감각으로 역이용
9. 조금 더 진지하게 살펴보자. 내년 수능에도 반드시 적용된다.
항상 응원합니다!!
Rule 7의 칼럼 BOX
1. Rule 칼럼
10월 학평 분석: http://orbi.kr/0004930790
9평의 제시형 문제 풀이법: http://orbi.kr/00048684572015
3학년 9월 모평 분석: http://orbi.kr/0004843897
비문학 '한 문제' 맞고 시작하기 (추천수 72): http://orbi.kr/0004798711
간파된 '매력 오답'의 원리 (추천수 55): http://orbi.kr/0004781747
'내신~수능' 까지 써먹을 팁 (추천수 76): http://orbi.kr/0004770519
'전개방식'문제 풀이법: http://orbi.kr/0004762187
2015 사관학교 '일탈, 대립' 선지 분석 (추천수 49): http://orbi.kr/0004751063
출제자는 '대립'을 좋아해!!(2014 수능 '대립' 분석): http://orbi.kr/0004742661
'보기' 제시형 문제의 비밀!!!: http://orbi.kr/0004737284
국어 선지들의 '일탈' (2014수능, 6월모평, 7월학평 분석): http://orbi.kr/0004729424
시험의 우선순위: http://orbi.kr/0004714878
7월 학평, 미안해 지문없이 그냥 풀었어!!!: http://orbi.kr/0004700746
[국어 시험의 법칙] 1탄: ‘일탈 선지’의 법칙 (기본편) : http://orbi.kr/0004615143
[국어 시험의 법칙] 2탄: ‘대립 선지’의 법칙 (기본편): http://orbi.kr/0004647628
[국어 시험의 법칙] 3탄: ‘공통 선지’의 법칙 (기본편): http://orbi.kr/0004662077
‘대립 선지’의 법칙 적용 사례 (보인고등학교 기말 편): http://orbi.kr/0004668652
2. 희귀 칼럼
정답이 눈에 보여!!!: http://orbi.kr/0004692230
시험의 허점 VS 출제자의 실수: http://orbi.kr/0004685033
출제자의 실수 VS 출제자의 의도: http://orbi.kr/0004679253
다른 시험, 같은 지문!!!: http://orbi.kr/0004631832
다른 문제, 같은 정답!!!: http://orbi.kr/0004905218
3. 전략 칼럼
찍기의 과학적인 이유?!!: http://orbi.kr/0004611157
4,800초의 시간 컨트롤: http://orbi.kr/0004639966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과탐 선택 질문 0
물리를 하면 무조건 망하나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수학으로 최저 0
수학으로 최저 준비할 때 쎈B 한번씩 풀어보는거 ㄱㅊ나요 기출 돌리기 전에 함 할까싶은데
-
?
-
우웅
-
제주대학교 수의예과 25학번 새내기를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25학번 신입생...
-
어그로 죄송합니다 국가장학금 총액 191만 나왔는데 국가장학금이 갑자기 많이...
-
전기장판키고이불덮고낮잠때리고싶다
-
ㅇㅂㄱ 4
ㅇㅅㅇ
-
특정안당하는법 6
동년배들이 오르비 안 할 나이에 오르비를 하면 됨 글에서 쉰내난다는 나쁜말은 ㄴㄴ
-
가질 수 없는 사람이 있어..
-
뻘글 1
제목부터 뻘글인데 이걸들어와?
-
가능한가요?? 아직 한 개 대학 추합 기다리는 중 입니다 등록금 반환은 되는걸로...
-
송도유배 불편한점 하나 14
주변에 씹덕질 할거리가 없음요 굿즈샵 상시방문 없이 1년 어캐버팀 나도 신촌갈래...
-
도와주세요 1
1. 1년장학금+행정학과+ 교통불편 버스 1시간 2. 경영인텔(경영+코딩) +...
-
얼버기 0
-
어릴 적-중딩 시절엔 약간의 중2병이라고나 해야할지 극단적 모더니스트처럼 이성을...
-
수학,화학,생명 가능함
-
첫글 3
ㅈㄱㄴ 히히
-
설인문 9
설인문갔는데 붙고나니까 ㅈㄴ 억울해요 경영경제 제외 다른 문과는 다 소수라 안정으로...
-
추합 질문 0
재가 학교 하나는 최초합이고 하나는 추합인데 촤초합 한 학교는 등록금을 12일까지...
-
님덜 0
n제하기전에 뉴런하는건가여?
-
헉
-
홍대 기계 3
예비 92번 붙을 수 있을까요? 작년 재작년 140 127번까지 돌았습니다
-
그리 좋은 대학은 아니지만 기분이 좋네요
-
한양대 인문 하위과 (관심있는 분야고, 가서 복전/다전할 생각이었음) 1번 추합...
-
인강 같은거 들을때도 사후적 이해는 그리 중요치 않다고 봄. 뭐 통화량 늘면 금리...
-
어제 충남대 예비번호 1번 받고 기다리는 중인데 진학사 점공에서 어제보다 한 등수...
-
홍익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자린고비 새내기들을 위한 홍익대 장학금 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그래프 그리기나 미분적분 연습할만한 문제집이 있을까요?
-
수학 상하 1
수2 풀면서 수학 상하 부분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현우진 시발점 수학 상하를...
-
방구석에서 화상과외로 시간당 2.5이상을 버는 지금 최저받고 이 일을 더 할 이유가 있을까
-
고민이 있습니다 0
제가 편의점 알바를 병행하며 2026학년도 수능을 대비하고 있습니다만은 편의점 알바...
-
경희대,건국대 둘다 무슨 오징어 게임에서 1빠따로 탈락할만한 엑스트라 참가자 번호의...
-
수학 고1 5 -> 고2 3 -> 고3 평가원 고정 1 질받 사문 10모 3 -> 수능 1 질받
-
부모님 이혼하고 지원없이 4년제 학교댕기는데 스스로 벌고 나가서 생활하면서 힘들지만...
-
문제 푸는데에는 정작 별로 안쓰일거같은데 중요한가요?
-
Hi 4
밤 샜음
-
여기 올해 컷 얼마정도일것같으세여??
-
아마 한 2월말부터 n제할거 같은데 뭐뭐하면 좋을까요? 작년에는 쭉 평가원 교육청...
-
성불 ㅇㅈ 10
드디어 뀨뀨대에 가게 되네요 Team 02 이제 수능 그만 보고 성불하겠습니다
-
누구는 사수해서 의대가는데 누구는 사수해서 부경전충을 가더라(당시 사수해서 부경전충...
-
언문독 언독문 2
국어 순서 어케하심?
-
수특 독서 경제 지문 고3이 소화할 수준 맞아...? 11
국어 강사가 막 수특 독서 1회독 끝냈는데 드는 생각이, 다른 분야는 몰라도 경제...
-
탈르비 하신건가요..
-
추합 0
건대 가군 추합 2배수 도는건 기대하기힘든가요 ㅠㅠ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