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통 미적 기하
-
국어 고정1이면 1
정법 지금 시작해도 만점 나와요?사탐에 감이 아예 없음 누가 국어 잘하면 정법하라길래...
-
국어 양 0
국어에서 양을 늘리라는게 양치기를 하라는건가요? 그럼 기출가지고만 양치길ㄹ...
-
헤어스타일 ㅇㅈ 2
여사친 만나러가는데 평가점...
-
1. 집근처 잇올 70만원정도 화장실 맘대로 못가는게 좀 에바같음.. 6.9모 따로...
-
후반 회차는 개어려워 ㅠ
-
[유튜브 23만뷰 돌파!!!] 수능 영어 풀어주는 AI 프로그램 개발? [노병훈 영어강사, Roy] 수능 CDI 풀이법 프로그램, 로블정음 영어독해법 0
이 칼럼으로 영어로 고민하고 힘들어하는, 많은 학생분들에게 새로운 인사이트와 희망을...
-
칼럼 뭐쓰지 0
소년애 지문 뜯어보기 이런거 할까 아님 강화약화의 일반적해법이나
-
국어 자습용ㅊㅊ 0
새기분 듣는중인데ㅜ 학교가는날엔 인강듣기 좀 버겁기도하고 혼자서 생각하고 풀만한...
-
정승제. 개념의 신. 공수2. 중 명제파트만. 보려고 하는데요 (선행용으로) 문제집...
-
진짜 마음이 싱숭생숭하네.... 아효......
-
22도 23도네 2
다다음주면 30도될듯
-
늦게 찾아온 만큼.... 3월말에 잠깐 여름 찍먹하고 다시 겨울이었다가 이제야 계절이 정상화된 느낌
-
버스로는 25분 정도 걸리는 거리인데 정류장이 제 집에서 10분 정도 걸리는 거리에...
-
.
-
13 14 21 28 29 계속 틀리는데 뭘 해야좋을까요 21 29은 그렇다 처도...
-
정답률 파악을 위해 문항마다 투표 올립니다. +국어 해설 작성에 능한 야인을 찾고자...
-
시발 존나 싼티나잖아~
-
”수학 익힘책“
-
수능대비 찐입문n제라고 봐도 손색이 없음 개념바로 배운 상태에서 유형+직관적인...
-
1. 사설모나 기출 등을 풀어본다. 2. 끌리는 포인트를 찾는다. 3. 그...
-
우리가 처음만났던 그때의 향기 그대로~~
-
그냥 공부를 안할 가능성이 높음 하루에 샤프를 드는 빈도가 적을지도
-
남정네들이랑 꽃 잠깐 보고 다시 들어와서 우렀어
-
참가비 걷기
-
다들 개념 암기할때 13
1. 손으로 쓰면서 외운다. 2. 눈으로 읽어보면서 외운다. 3. 밑줄 그으면서...
-
일단 말도 안되는 굇수들이 수학 문제를 촤라락 풀고 자랑질을 할 것 이다 이때 너는...
-
완벽하게 풀고 설명할 수 있다? 꽉 찬 2등급은 나올듯
-
상품 더 뿌려야겠네요 12
의문의 후원릴레이로 인해 많은 참가 부탁드립니다 받은 덕코는 다 쓰는 게 도리겠죠
-
뭐 형광펜 쳐라 밑줄 쳐라 적어라 이런걸 딱 어디부터 어디까지 쳐라 아니면 어디다...
-
육진방언 글로 3만 덕 넘게 벎 캬캬
-
왤케 웃기지ㅋㅋㅋㅋ
-
2025학년도 한림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학과 포함) 0
2025학년도 한림대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 : 네이버블로그
-
모의고사는 어케 되는거임? 연기?
-
젖지 대머리에 빠져서 할수가없어
-
1. 투자할 돈을 모은다. 2. 1을 절대 주식에 넣지 않는다. 3. 2를 반드시...
-
점심 메뉴 조합 추천좀 16
이번달 배달 안먹기 챌린지중
-
헛소리하길래 뒤질래?라고 했더니 이러는데 사귈까요?ㅇㅇ
-
흑흑
-
사탐런 경제 선택하려는데요. 제가 금머갈은 아니라서 막 효율적인 풀이를 잘하지는...
-
911이후 제일 심각한 수준으로 내리는데 이게 끝이 아닐것같음
-
토레타 사긴 아까운디 포카만 따로 구해도 가격차이 크게안날듯
-
의대 투표 1
서연카성울고 의대 정시 일반전형 목표로 물2화2는 어떤가요? 다른 건 언매,미적입니다.
-
오늘할꺼 0
피램 오답 피램 독문1일치 국어 주간지 영어 주간지 2일치
-
책왔다 7
국어 연계랑 수학1
-
이항대립,삼항대립,붙여읽기,끊어읽기,구조독해,그읽그풀 이게 다 뭐임 이거 다...
-
딱 한명만 아는데 굉장히 어이없는 질문글이였음
-
그냥 입문n제급인가요?
서릐....
수학 인강을 가장 효율적으로 듣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저는
1. 먼저 풀어보기
2. 해설강의 듣기
3. 해설강의에서 아이디어 가져가기
이런식으로 하는데
조교님은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비슷하게 했는데, 아무래도 수학은 가능, 불가능이 꽤나 중요한 영역이다 보니 각가 강사의 해설을 들을 때 아이디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1. 내가 시험장에서 사용 가능한 아이디어인가, 2. 확장성이 있는 아이디어인가를 생각했던 것 같아요. 1번은 무슨 말인지 다들 아실 테고, 2번은 예를 들자면 171130의 기울기 풀이와 같이 식이 조금 바뀔 때에는 더 이상 적용 불가능한 풀이의 경우에는, 여러 문제에 적용해 보다가 안 될 경우에는 과감하게 버렸던 것 같아요. 또 아이디어만을 가져가기보다도 각 아이디어가 나오게 된 배경이나 킬러 문제의 조건들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봤던 것 같습니다.
저 마침 지금 형이 생각나서 고민상담드리고 싶었는데 딱 올라와있네요 옾챗가능할까요??
넵 옵챗은 언제든지 답변 드리고 있어요!

아 한과영수학 92에서 100으로 가는 과정에서 가장 필요한것은 뭘까요?
저 같은 경우에는 양치기를 통한 피지컬 배양이라고 생각해요. 21, 30을 남기고 30분이 남는 것과 50분이 남는 것은 다르잖아요. 수많은 유형을 학습하면서 패턴을 익히고, 어떤 문제에서도 당황하지 않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또한 92점과 같은 경우에는 특정 파트에서 약한 경우가 많아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이는 미적분이었고요. 메타인지를 통해 자기가 약한 부분을 찾고, 특정 유형의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구멍들을 채우는 시그로 학습하고, 이후에는 양치기를 통해 실수를 줄이고 더 빠른 시간 내에 풀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쪽지 드렸습니다!
설의ㄷㄷ
와ㅋㅋㅋㅋ

ㄹㅇ 개간지시네요 멋지십니다기출 복습용으로 행동강령이랑 내가 부족한 부분, 구조도(필요할까요...), 문제분석(완전 꼼꼼히...or 내가 체크해둔 선지만...흐음...) 정도를 노트로 만들려 하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막막해서 잘 안 잡히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비문학은 순수하게 그읽그풀과 배경지식 타입이었기에, 구조도와 같은 부분에서는 도움을 드리기가 어려울 것 같아요 ㅠㅠ. 다만 행동 강령과 같은 경우에는 플랜 에이(막힘없는 경우), 플랜 비(문학에서 멘탈 터질 때), 플랜 씨(문법에서 헷갈릴 때) 정도로 큼지막하게 계획표는 세워 놨어요. 어느 한 가지 전략만 가지는 것보다도, 다양한 방법의 전략을 세워놓는 것이 변수가 많은 시험장 상황에서 조금 더 편안한 마음으로 시험 볼 수 있다고 생각해요. 분량은 한 장 정도면 충분하고요. 문제 분석과 같은 경우에는, 저는 마더텅 문학 책 하나의 선지들만 정리해서 단권화했는데, 처음에는 한 문제당 10분씩 걸려도 하다 보면 대부분의 유형이 비슷해서 400번대를 넘어가면 대부분의 문제의 해설이 겹치게 되더라고요.
와 400번까지라 ㄷㄷ 걍 기출 씹어드셨네...ㅋㅋ
너어무 감사합니다! 필요한 부분만 쏙쏙 빼갑니다 ㅎㅎ
국어 얼마나 푸셨나요 교재
9월 이전까지는 기출만 마더텅으로 한 번 풀었고, 재종 교재를 풀었습니다. 9평 2등급을 맞은 이후에 불안해져서 엄청 풀었는데, 일주일에 간쓸개 두 권, 매일 본바탕 2회, 매일 실모 하나, 기출 한 회 정도씩을 무작정 풀었어요. 저는 사후 분석에 시간을 쓰는 타입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9월 이후에는 하루에 4~5시간을 국어에만 쓴 것 같아요. 그리고 문학 인강 강의와 문법은 교재별로 몇 개 챙겨 들었습니다
한과영 ...ㄸ
와 십갓 부럽읍니다
재수는 어떻게 하셨나요?
저는 재종 조기선발반부터 공부했어요. 자세한 건 바이럴 비슷하게 될 수 있으니, 쪽지 부탁드릴게요
그때 칼럼(공부법, 공부하신 책 같은거) 올려주신다고 했는데, 나중에 올려 주실수 있나요?
넵 이제 합격증도 나왔으니, 빠르게 올리도록 할게요 ㅠㅠ 죄송합니다
마닳을 사놨는데 문학이 부족해서 인강듣고있는데 비문학만 먼저풀고있을까요 아니면 한차시씩 다 풀어버릴까요??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해 정립하지 않고 기출을 푸는 것은 조금은 아쉬울 수도 있으니, 비문학만 먼저 풀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어느 정도 기본이 잡힌다면 그 때부터 한 차시씩 하시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와 이젠 이 분을 현주해로 보게되네..
비문학은 현주선생님 방식대로 독해하고 분석해서 문제 푸는 데 기준이 잡혀있는데 문학같은 경우에는 기준없이 그냥 읽고 푸는 게 고민이에요.. 시같은 경우에 예를 시를 한 번 다 읽고 문제를 푸는데요 예를 들어 '어떠어떠한표현방식이 사용됐다'라는 내용의 선지를 보면 '이런 표현방식이 사용됐나?'라는 생각이 들고 다시 시 되돌아가서 읽고 이런 식으로 푸니까 제가 시를 푸는데 명확한 기준없이 야매로 푼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또 고전시가는 현대어랑 달라서 의미를 몰라서 내용 파악하기가 어려운데 이건 어떤 식으로 공부해서 보충하는 게 좋을까요?
님 영어빼고 노베라고 글쓰셨지 않았나요? 완전 유베신데요...
적어도 수능 기준으로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노베나 다름없는 이해도였습니다...
3기 플래너 배송은아직안된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