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kyway203 [1006059] · MS 2020 · 쪽지

2020-12-18 19:00:33
조회수 15,526

[학생부를 잡아라! 세특 A to Z] 좋은 세특은 좋은 주제에서 시작한다!

게시글 주소: https://video.orbi.kr/00034010108

 필자가 고등학생 1,645명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결과, 학생들은 세특 준비 시 가장 어려운 것으로 ‘주제 선정’을 1순위로 꼽았다. 이는 역설적으로 학생들이 세특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제 선정임을 인지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좋은 세특 내용은 좋은 주제에서 시작한다. 오늘 칼럼에서는 좋은 주제를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출발은 역시 교과서!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다는 말은 그저 틀에 박힌 진부한 소리가 아니라, 너무 익히 들어 진부하게 느껴질 정도로 정석적인 공부방법이라는 소리이다. 세특의 출발 역시 교과서다. 좋은 세특은 결국 교과 학습에서 얻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탐구를 뜻한다. 당연히 모든 교과의 시작은 교과서다. 교과서에는 학생들의 이해와 탐구를 돕기 위한 다양한 자료들이 들어있다. 교과서 본문뿐만 아니라 탐구 활동과 참고자료들까지 꼼꼼히 살펴보자. 교과서 탐구 활동에 나와 있는 활동을 발전시켜 세특 주제로 삼는 것이야말로, 가장 정석적인 출발임을 잊지 말자. 교과서에서 출발해 탐구 주제를 잡을 경우, 자료 조사 과정에서도 교과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교과서에 실린 참고자료에는 반드시 출처가 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출처로 나와 있는 도서나 사이트를 참고하면 탐구에 필요한 관련 자료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진로와 연계하기

 

 교과서에서 출발하는 세특이 정석이라면, 진로와 연계를 하는 심화 세특은 필살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진로와 관련한 세특 주제야말로 어디에서부터 선정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경우가 많다. 평소에 본인이 희망하는 진로에 관심이 많아 관련 뉴스나 연구 동향 등을 잘 알고 있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가장 먼저 참고하기에 좋은 것은 역시 희망하는 대학과 학과의 홈페이지다. 학과 뉴스, 교수별 연구 동향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학과 홈페이지에서 ‘바이오 나노 센서’ 연구에 대한 최근 소식을 발견했다면, 포털사이트 등에서 추가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최근에 해당 기술을 적용한 사례들을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세특 발표 자료가 될 수 있다.

 

 평소 본인이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뉴스들을 자주 살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예컨대 경제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유가’와 ‘환율’이라는 키워드가 뉴스에서 함께 등장하는 것을 자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각각의 키워드를 단순히 교과서 수준에서 개념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실제 관련 지수들을 찾아보고, 이를 본인이 나름대로 해석해서, 관련 정책을 제안하는 활동을 해 본다면 훌륭한 세특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자율발표나 보고서에서 무언가 대단한 것을 해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진 학생들이 많다. 하지만 좋은 세특은 본인의 배움을 뛰어넘는 완전히 새로운 주제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좋은 세특은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발전시키는 것, 혹은 희망하는 진로에서 이 교과 지식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대학에서 중시하는 것은 대단한 탐구 결과가 아닌, 궁금한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관심을 갖는 열정임을 잊지 말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