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양치기?
게시글 주소: https://video.orbi.kr/0002907259
안녕하세요.
제가 영어지문을 읽을 때 몇가지 문제점이 있어서요.
글을읽을때 자꾸 말립니다. 해설을 보면 문장구조가 잘 보이고요.
그리고 긴 문장을 읽는도중 앞에부분을 잘 처리해놓고는 뒷부분에가면 기억이 안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양치기를 하는 것이 좋을까요? 한다면 어떤 책이 좋을까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갑자기 해결된 기념으로 첫 정답자 5000덕 드리겠습니다!
-
내 마지막 소원이다...
-
살 덜찌는 포션같은거임
-
해외 갔다가 방금 확인해서 뒷북침요
-
둘다 붙었는데 어느쪽이 괜찮을까요? 둘다 취업은 나쁘지않은거같아서 고민이네요
-
아...
-
광운대 전자 16번인데(모집인원 21명임) 원래 한바퀴 이상은 도는데 올해 갑자기...
-
??
-
한국외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외대25] [대학생활관련꿀팁]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한국외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한국외대학생,...
-
착샷 실제로 본것중에는 drx가 제일 예쁜듯? 티원, 딮기, 피어엑스, drx,...
-
저는 다 그렇더라구요
-
그래도 되는거지?
-
일단은 박선우t 고득점양산의 바이블인가 이거 들어보려고 하는데 어떤가요??
-
조별과제 구하기 힘든가.. 금데 ㄹㅇ 걍 자발적아싸하고싶음
-
배워가는 중인데 아 진짜 본게임은 성비 남여 2:8에서 살아남는 건데 미치겠네 ㅅㅂ...
-
[속보] 검찰, '1·2심 무죄' 이재용, 대법원에 상고한다 1
검찰이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으로 기소돼 1·2심 모두 무죄를 선고받은 이재용...
-
제이팝 추 4
누군지 몰라도 듣자마자 무슨 노래 부른 사람인지 알아야겠지?
-
탐구 어카죠 3
현역 정시 공대가 목표입니다 언매 미적 물지 하려고 햇는데 과탐1 사탐1을 할지...
-
한사이클 돌 수 있을까요 하..
-
올해는 연대보다도 비싸네 ㄷㄷ 인문대 394 공대 530 의대 670
-
지금 해도 할만할까요 상근이라 최대로 빼면 하루에 7시간은 공부할듯
-
서점가서 책 구경하는데 1지망 학교 1지망 학과 교수님께서 쓰신 생물학 최애분야...
-
레어 사세요 2
고양이 레어 많아요
-
어떡하지..
-
고교 졸업증명서 동사무소에서 가능한가요? 정부24는 뭐 2월 말에 해야한다고 해서..
-
저작권문제될까봐 걱정임
-
의대 오티새터같은거 있나요?
-
[https://youtu.be/J14amZeDcPY?si=-0mj_BRjhfvABC...
-
근데어케짜지 조언좀
-
정말 고민되는데 어디가 좋을까요
-
제일 갑이지?
-
고3때 하라는 수능공부는 안하고 딴거
-
수고하셨습니다.
-
카이스 아나토미 0
2/10일에 풀강이올라오는건가요
-
보카로 추 6
-
정시 등록 취소 1
취소하면 등록금 환불 얼마만에 나오나요
-
매주 만들어서 올릴 예정입니다. https://orbi.kr/00069814985...
-
어떡해?????
-
순대랑 놀자 6
놀자
-
화공vs컴퓨터 8
경북대 화학공학과랑 컴퓨터학부(글로벌소프트웨어융합전공) 둘 중에 어디가...
-
제1원인="진성난수+신경망" 진성난수로 신경망에 돌연변이를 가하여 신경망 내부에...
-
케이스 분류가 많은 문제들 집중적으로 풀고 싶은데 ㄱㅊ은 n제 있나요?
-
어떤거같음?
-
학교에서 젤 예쁜 언니가 같은학년 내신 전교 2등 짝사랑 고백했는데 전교2등이...
-
너는 말이다. 4
너는 말이다. 한번쯤 그 긴 혀를 뽑힐 날이 있을 것이다. 언제나 번지르르하게...
-
인하대 반도체시스템(4년 전액장학금, 대신 1학년2학기 휴학 안되고 학점 3.5...
-
취집하고 싶다... 16
밥도 잘하고 청소도 잘하고 쓰레기도 잘 버리고 나 키워줄 사람 없나 흠냐뇨이....
-
전자공이 1등?
강의들으시는게 낫지않으려나요 구문강의나 전체틀강의
논리공부를해야합니다.
글의 구조를 알아야합니다.
이런건 승동님께서 잘알려주시는데 계신지모르겠네요..
있어요 근데 알려주는 사람들은 제가 무조건적으로 장사하는 줄 알고.. 받으시질 않음 ㅠㅠ
TEF구매자인데 좀아쉽네요..ㅠ.ㅠ
아 맞다 330제 나와요 ㅎㅎ
지금 거의 다 끝냈습니다
http://orbi.kr/0002827905
우선 이 글 참고해주시고.(제가 쓴 글은 아닙니다)
논리성. 즉 글을 읽을 때 문제 포인트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를 의식해야 합니다.
'나한테 ~~한 문제가 있다'는 생각을 너무 의식하지 말고,
독해 속도나 제한 시간에 너무 목매지 말고 차분히 문제들 풀어 보셨으면 좋겠네요.
수능 문제에 등장하는 지문들이 앞부분을 잊어버릴 정도로 보통 길지는 않을 것 같아서요.
근데 이런것도 다 구문력의 문제가 아닌가요? 구문이 상당히 잘되있으면 각 구문을 고민없이 머릿속에 박으면서 전진독해하니까 스피드가 자연히 빨라지고 이해력도 높아지는거 같아요.
반면에 구문력이 안되있으면 보는 구문 하나하나를 새로운 마음으로 신경쓰면서 내용 파악해야하니까 내용도 잊어먹게 되고..
꼭 그렇진 않아요.
예컨데 11수능의 빈칸문제의 경우가 좋은 예이지요.
그 빈칸 문제도 솔직히 구문력이 훨씬 크죠. 26번 구문 모르면 말도 안되는 해석하기 십상이죠. 그리고 논리력 쩔어도 ebs로 시간 확보 안되있으면 어차피 손도 못대고.. 물론 논리력이 중요하긴 하겠지만 ebs,구문에 비하면..;
저는 이비에스 까는 사람은 아니라 이비에스는 당연히 중요하다보고요.
에너지문제(28)을 제외하고는 구문 자체가 어렵지는 않았습니다.
참고로 실전에서 해봣습니다.
..저랑 완전똑같은 상황이시네요 ...
승동님 위에링크 올려주신거 논리성에 관한글이 아닌거 맞나요?;
양치기보다는 질치기. 즉 논리독해를 공부하라는 말이에요ㅋㅋ 그 겸으로 Tef도 소개하는 글이고요.